선현들의 학문과 사상을 연구 개발하는사단법인 퇴계학 부산연구원
2020년 시민문화교양강좌 일정표
작성자관리자
등록일20.03.31
조회수3624
2020년도 시민문화교양강좌 일정표
| 
 연번  | 
 月/日  | 
 주 제  | 
 강 사  | 
 비 고  | 
| 
 1  | 
 05/01  | 
 朝鮮時代 東萊府의 敎育機關과 祭壇 〮祠廟 및 民俗에 대하여  | 
 李源鈞  | 
 본원 원장(부경대 명예교수)  | 
| 
 2  | 
 05/08  | 
 부산의 역사 지리(1)[기]〮  | 
 禹珠鎬  | 
 국토&지리연구소 소장  | 
| 
 3  | 
 05/15  | 
 부산의 역사 지리(2)[기]  | 
 禹珠鎬  | 
 국토&지리연구소 소장  | 
| 
 4  | 
 05/22  | 
 퇴계의 삶이 주는 현대적 의의  | 
 宋靜淑  | 
 부산대 교수  | 
| 
 5  | 
 05/29  | 
 퇴계 5傳弟子들 간의 학술 논쟁  | 
 李秉甲  | 
 안동대 명예교수  | 
| 
 6  | 
 06/05  | 
 傳統儒家의 法度와 家門意識  | 
 金秉權  | 
 부산대 명예교수  | 
| 
 7  | 
 06/12  | 
 해항도시 부산의 해양문화(1)[기]  | 
 具謨龍  | 
 해양대 교수  | 
| 
 8  | 
 06/19  | 
 임진왜란이 남긴 흔적, 허목의 ‘동래할미’ 읽기  | 
 李聖惠  | 
 부산대 점필재연구소 전임연구원  | 
| 
 9  | 
 06/26  | 
 해항도시 부산의 해양문화(2)[기]  | 
 具謨龍  | 
 해양대 교수  | 
| 
 10  | 
 07/03  | 
 부산의 언론인, 황용주 이병주 이인형[기]  | 
 車鎔範  | 
 경성대 교수  | 
| 
 11  | 
 07/10  | 
 부산교육의 현재와 미래(1)[기]  | 
 이수한  | 
 부산교육연수원 원장  | 
| 
 12  | 
 07/17  | 
 부산교육의 현재와 미래(2)[기]  | 
 이수한  | 
 부산교육연수원 원장  | 
| 
 13  | 
 07/24  | 
 퇴계학맥, 海月 黃汝一의 삶과 사상  | 
 成海俊  | 
 동명대 교수  | 
| 
 14  | 
 07/31  | 
 왜란에 봉기한 의병장들의 구국정신  | 
 金泰詢  | 
 전 내성고교장  | 
| 
 15  | 
 08/07  | 
 동래탈춤의 유래와 전승(1)[기]  | 
 심상교  | 
 부산교대 교수  | 
| 
 16  | 
 08/14  | 
 동래탈춤의 유래와 전승(2)[기]  | 
 심상교  | 
 부산교대 교수  | 
| 
 17  | 
 08/21  | 
 현대의 관혼상제례  | 
 鄭景柱  | 
 경성대 명예교수  | 
| 
 18  | 
 08/28  | 
 漢字의 同字異音과 筆順에 대하여  | 
 趙柄悟  | 
 동의대 연구교수  | 
| 
 19  | 
 09/04  | 
 당산제의 마을공동체 문화(1)[기]  | 
 황경숙  | 
 부경대 교수  | 
| 
 20  | 
 09/11  | 
 당산제의 마을공동체 문화(2)[기]  | 
 황경숙  | 
 부경대 교수  | 
| 
 21  | 
 09/18  | 
 여성문학의 현실인식과 시대의식  | 
 이해년  | 
 동서대 교수  | 
| 
 22  | 
 09/25  | 
 낙동강 지역의 퇴계학맥(1)  | 
 韓相奎  | 
 선비정신문화연구원장  | 
| 
 23  | 
 10/16  | 
 퇴계학의 역사적 가치(1)  | 
 趙南旭  | 
 부산대 명예교수  | 
| 
 24  | 
 10/23  | 
 樓亭文學(1)[기]  | 
 河岡震  | 
 동서대 교수  | 
| 
 25  | 
 10/30  | 
 樓亭文學(2)[기]  | 
 河岡震  | 
 동서대 교수  | 
| 
 26  | 
 11/06  | 
 부산지역 민요와 아리랑의 정체성(1)[기]  | 
 박경수  | 
 부산외대 교수  | 
| 
 27  | 
 11/13  | 
 부산지역 민요와 아리랑의 정체성(2)[기]  | 
 박경수  | 
 부산외대 교수  | 
| 
 28  | 
 11/20  | 
 인공지능시대의 유교윤리 실천(1)  | 
 兪英玉  | 
 동아대 연구교수  | 
| 
 29  | 
 11/27  | 
 退溪의 漢詩에 나타난 山水  | 
 孫五圭  | 
 제주대 교수  | 
| 
 30  | 
 12/04  | 
 退溪學과 嶺南萬人疏  | 
 琴鏞斗  | 
 본원 전임교수  | 
| 
 31  | 
 12/11  | 
 인공지능시대의 유교윤리 실천(2)  | 
 兪英玉  | 
 동아대 연구교수  | 
| 
 32  | 
 12/18  | 
 退溪學은 어째서 時空을 超越하는가?  | 
 金秉權  | 
 부산대 명예교수  | 
◐ 매주 금요일 오후 2시30분~4시30분(강의 : 90분) ※ [기] 표시는 기획강좌입니다.
※금년도 기획강좌의 주제는 「부산의 역사와 문화 2」로 정하였습니다. ※ppt 사용 가능합니다.